2025. 9. 1.

코슈메슈티컬 패키지 디자인

후가공과 패키지 디테일,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것들

패키지 디자인은 작은 디테일이 브랜드 이미지를 좌우하며, 후가공은 고급감을, 단상자의 구조와 문구는 안전성과 전문성을 만든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25. 9. 1.

코슈메슈티컬 패키지 디자인

후가공과 패키지 디테일,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것들

패키지 디자인은 작은 디테일이 브랜드 이미지를 좌우하며, 후가공은 고급감을, 단상자의 구조와 문구는 안전성과 전문성을 만든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패키지 디자인은 작은 디테일이 브랜드 이미지를 좌우하며, 후가공은 고급감을, 단상자의 구조와 문구는 안전성과 전문성을 만든다.

후가공, 고급감을 만드는 전략

  • 코팅(OPV): 유광은 선명함과 강렬함, 무광은 차분하고 고급스러운 인상을 준다.

  • 스팟 UV: 특정 로고나 패턴을 부분적으로 반짝이게 강조.

  • 엠보·디보: 볼록/오목 효과로 촉각적 경험 제공.

  • 포일 스탬핑: 금박·은박 등은 프리미엄 이미지를 주되, 한정적으로 쓰는 것이 효과적.

  • 홀로그램/펄 코팅: SNS·리뷰용 촬영에서 시선을 끌 수 있는 시각 효과.

후가공의 의미

후가공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소비자가 제품을 집어들게 만드는 마지막 터치다.

PET 단상자 디자인,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점

투명 PET 단상자를 디자인 할 시, 고려해야할 사항은 아래와 같다.

  • 접착면이 일반 종이 단상자와 달리 바깥면으로 나와 있음 (국내 생산 80% 이상이 이 방법을 사용).

  • 접착면에 문양이나 텍스트를 두지 말 것 – 본드 자국이 보이면 글씨가 일그러져 브랜드 이미지에 치명적.

  • 본드 자국은 투명 PET에서는 더욱 두드러져 보이므로, 깨끗한 마감이 필수.

  • PET 단상자는 재질 자체가 투명하기 때문에 빈 부분은 곧 제품이 그대로 드러나는 영역이 된다. 따라서 이 투명함을 살리기 위해 PET를 선택했다면, 그래픽을 넣지 않는 공간의 역할까지 고려해 전체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무자의 흔한 실수

실무에서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PET 단상자 접착면이다. 반드시 초기에 구조를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고농축 앰플·MTS 패키지, 안전 문구와 정보 표기의 중요성

바이알을 사용한 패키지나, MTS용 앰플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아래와 같다.

  • EXTERNAL USE ONLY: 외용 제품임을 명확히 표시 → 안전성 확보.

  • 보관/취급 주의 문구: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 “개봉 후 즉시 사용 권장” 등.

  • 고농축 성분 안내: 자극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권장 사용법을 간단히 표시.

안전 문구의 역할

법적 의무는 아니더라도, 안전 표기는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강화에 직결된다. 특히 의료·코스메슈티컬 제품군에서는 “친절한 표기”가 오히려 소비자 불안을 줄이고 신뢰를 높인다.

결론

후가공은 브랜드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하고, PET 단상자는 투명성을 살려 차별화할 수 있지만 접착면·마감 처리에서 작은 실수만 있어도 브랜드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 고농축 앰플 패키지의 안전 문구는 소비자 보호와 직결된다. 코스메슈티컬 패키지는 결국 고급감·세밀한 완성도·소비자 안전이 균형을 이룰 때 완성된다.

참고문헌

  • 김선영(2015). 메디컬 피부과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브랜드 C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동신 외(2006). 패키지디자인. 안그라픽스.

  • Stewart, Bill(1997). 패키지 디자인 전략. 권영수 역. 시공사.

  • 신자희(2009).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브랜드 포지셔닝 강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의 특성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소식을 이어가겠습니다.

웹·브랜딩 디자인의 실제 사례와 인사이트를 매일일 공유합니다.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