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8. 31.

환자 경험 디자인

한의원 모바일 웹, 왜 다르게 설계해야 할까?

한의원 모바일 웹은 환자의 생활 고민과 직결된 UX 설계가 필요하다. 카테고리 구성, 내비게이션, 브랜딩 언어까지 환자 경험 중심으로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25. 8. 31.

환자 경험 디자인

한의원 모바일 웹, 왜 다르게 설계해야 할까?

한의원 모바일 웹은 환자의 생활 고민과 직결된 UX 설계가 필요하다. 카테고리 구성, 내비게이션, 브랜딩 언어까지 환자 경험 중심으로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한의원 모바일 웹은 환자의 생활 고민과 직결된 UX 설계가 필요하다. 카테고리 구성, 내비게이션, 브랜딩 언어까지 환자 경험 중심으로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환자가 원하는 정보, 왜 한의원 UX는 달라야 할까?

일반 병원 웹사이트는 보통 질환 중심으로 메뉴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내과는 당뇨·고혈압, 정형외과는 골절·관절 질환과 같이 진단명에 따른 구분이다.

반면 한의원은 생활밀착형 카테고리가 중심이다.

  • 피부 (여드름·흉터·한방성형 등)

  • 다이어트 (산후·부분·단기)

  • 교정 (척추·골반·일자목 등)

  • 탈모 (남성·여성·원형·지루성 등)

  • 난임/불임 클리닉

즉, 사용자는 “내 생활 고민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접근한다. 이 때문에 한의원 UX는 단순한 병원 정보 전달이 아니라 환자의 문제 해결과 바로 연결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출처: 이수진, 2018).

환자가 가장 중요하게 찾은 요소는 무엇일까?

연구에 따르면 환자들은 한의원 모바일 웹에서 온라인상담(37.5%)과 진료내용(33.3%)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출처: 이수진, 2018, 표4.09).
이는 단순한 Q&A 기능이 아니라,

  • 어떤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다 (진료내용)

  • 곧바로 연결되어 상담하고 싶다 (온라인 상담)

라는 정보+연결 욕구를 반영한다.

또한 내비게이션은 상단 고정(41.7%)이 가장 선호되었고, 검색 기능 역시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47.7%로 높게 나타났다(출처: 이수진, 2018, 표4.14). 이는 단순한 텍스트 검색이라기보다 원하는 메뉴를 빨리 찾고 싶은 욕구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클릭 3번 안에! 내비게이션과 접근성이 UX 성패를 가른다

한의원 웹에서 환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정보 찾기(37.5%)와 복잡한 구조(33.3%)였다(출처: 이수진, 2018, 표4.15).

따라서 UX 설계 시 핵심은 단순화다.

  • 메뉴는 3단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제한

  • 2~3번 클릭 이내 원하는 페이지 도달

  • 클리닉 단위 아이콘(피부·다이어트·탈모 등)으로 바로 진입 가능하게 설계

즉, 한의원 UX의 성패는 얼마나 직관적으로 설계되었는가에 달려 있다.

브랜딩 언어와 이미지 톤, 왜 서양의학 병원과 달라야 할까?

서양의학 병원은 “진료·진단·치료”라는 의료적 언어가 중심이다. 반면 한의원은 “자연·균형·체질·회복”이라는 정서적 언어를 사용한다(출처: 이수진, 2018).

이 차이는 디자인 톤앤매너에도 직접 반영된다.

  • 컬러: 내추럴·온화 계열 선호 (응답자 45.8%가 내추럴 컬러 선택, 출처: 같은 연구, 표4.06)

  • 이미지: 따뜻하고 친근한 분위기, 자연 소재나 부드러운 그래픽 활용

  • 메시지: “치료”보다는 “회복·균형·건강한 삶” 강조

즉, 한의원 UX의 차별성은 메뉴 구조뿐 아니라, 언어와 시각적 표현을 통해 환자에게 전달되는 정서적 경험에서 드러난다.

결론

한의원 모바일 UX는 일반 병원의 UX를 단순히 모방해서는 효과를 낼 수 없다.

  • 생활 고민 중심의 클리닉 단위 카테고리화

  • 원하는 정보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단순한 내비게이션

  • 자연과 균형을 강조하는 브랜딩 언어와 따뜻한 이미지 톤

이것이 바로, 한의원 UX가 일반 병원 UX와 달라야 하는 이유다.

참고문헌

  • 이수진(2018). 한의원 모바일 웹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수진(2014). 사용성 향상을 위한 종합병원 모바일 웹사이트 GUI 디자인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선지연(2002). 웹디자인에서 배색과 레이아웃에 의한 감성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성장미(2015). 픽토그램 개발을 통한 한방 의료 서비스디자인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지원(2000). 웹 스타일 가이드라인 템플릿 개발을 통한 웹아이덴티티(WI) 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주현, 이응봉(2005). 대학도서관 웹 스타일 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105-106.

  • 강은정(2007). 웹 기획 기초와 설계-사이트, 인터페이스디자인. 한빛미디어.

  • 정혜신(2002). 인터넷을 이용한 병원홍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빛나(2001). 치과 관련 인터넷 홈페이지의 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선의, 최호천(1999).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미진사.

  • 박오름(2012). 인터랙티브 다이어그램의 표현양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식을 이어가겠습니다.

웹·브랜딩 디자인의 실제 사례와 인사이트를 매일일 공유합니다.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