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9. 20.

병원 브랜딩

모발 클리닉, 20대 환자의 라이프스타일별 탈모관리 니즈 해석하기

20대 탈모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병원과 모발 클리닉에 새로운 성장 기회이자 브랜딩 전략의 전환점이 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25. 9. 20.

병원 브랜딩

모발 클리닉, 20대 환자의 라이프스타일별 탈모관리 니즈 해석하기

20대 탈모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병원과 모발 클리닉에 새로운 성장 기회이자 브랜딩 전략의 전환점이 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대 탈모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병원과 모발 클리닉에 새로운 성장 기회이자 브랜딩 전략의 전환점이 된다. 특히 20대는 라이프스타일 성향에 따라 관리 방식이 달라지므로, 이를 이해하는 것이 상담·브랜딩의 핵심 출발점이다.

20대 환자,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탈모관리 차이

20대 탈모 환자는 유행추구·자기표현추구·외모추구 세 가지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나뉘며, 각 유형에 따라 관리 방식과 병원 인식이 달라진다.

유행추구형 환자: 신제품·기기에 민감하다

연구에 따르면 유행추구형 환자는 탈모 관리 행동 중 화장품·기기 사용에는 정(+)의 영향을 보였지만 병원 진료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p<.05). 이는 병원이 ‘증상이 심각할 때 가는 곳’이라는 인식 때문으로, 예방적 관리보다는 가볍게 경험할 수 있는 신제품·기기 사용을 선호한다.

적용 포인트

  • 병원 진료를 ‘두피 진단과 최신 솔루션 상담’으로 포지셔닝

  • 진료실 상담을 “관리·케어” 톤으로 접근

  • 최신 성분의 기능성 샴푸, 두피 토닉, 두피 관리 기기 패키지 제안

  • “신제품 런칭, 최신 연구 반영” 메시지로 환자 흥미 유도

자기표현추구형 환자: 즉각적 효과가 최우선

자기표현형 환자는 모발이식이나 SMP(두피문신) 같은 시술에 강한 정(+)의 반응을 보였다(p<.01). 이들은 “내가 어떻게 보이는가”를 최우선 기준으로 삼으며, 즉시 눈에 띄는 변화를 중시한다.

적용 포인트

  • 모발이식, SMP 시술 상담을 핵심 서비스로 강조

  • Before & After 사례집을 활용해 즉각적 변화 제시

  • 시술을 “자기 표현의 도구”로 설명

  • “이미지가 달라지는 순간, 자신감도 달라진다” 메시지 전달

외모추구형 환자: 이미지 개선 = 시술 효과

외모추구형 환자 역시 모발이식·SMP 시술에 가장 강한 반응을 보였다(p<.001). 화장품·기기·식품 섭취 등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변화를 선호한다.

적용 포인트

  • 모발이식 패키지, SMP 시술을 ‘외모 관리 루틴’으로 제안

  • 상담 시 “이건 단순한 시술이 아니라 자기 관리 습관”이라는 메시지 활용

  • 대기실·상담실에 시술 전후 이미지 자료를 전시해 신뢰감 강화

결론: 라이프스타일을 읽는 것이 브랜딩의 시작

20대 탈모 환자는 하나의 집단이 아니라, 유행추구형·자기표현형·외모추구형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유행추구형 → 최신 화장품·기기 관리, 가볍게 접근

  • 자기표현형 → 즉각적 효과 선호, 모발이식·SMP 중심

  • 외모추구형 → 이미지 개선 시술 선호, 시술을 자기관리 습관으로 해석

이 차이를 이해하는 순간, 병원은 단순히 탈모 치료만 제공하는 곳이 아니라 환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하는 공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브랜딩은 결국 환자의 언어와 니즈를 읽는 데서 시작된다.

참고문헌
오정선(2024). 20대의 라이프스타일 추구유형에 따른 탈모관리행동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14(3), 519-528.

소식을 이어가겠습니다.

웹·브랜딩 디자인의 실제 사례와 인사이트를 매일일 공유합니다.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