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0. 5.

병원 브랜딩

'텍스트마이닝'으로 본 의원·약국 명칭 트렌드와 환자 인식

이인성·김남권(2024)의 연구는 의원·치과·한의원·약국 명칭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해, 어떤 단어가 환자 신뢰를 얻고 병원 브랜딩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25. 10. 5.

병원 브랜딩

'텍스트마이닝'으로 본 의원·약국 명칭 트렌드와 환자 인식

이인성·김남권(2024)의 연구는 의원·치과·한의원·약국 명칭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해, 어떤 단어가 환자 신뢰를 얻고 병원 브랜딩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병원 이름은 단순한 표식이 아니라 환자에게 신뢰와 이미지를 전달하는 첫인상이다. 이인성·김남권(2024)의 연구는 의원·치과·한의원·약국 명칭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해, 어떤 단어가 환자 신뢰를 얻고 병원 브랜딩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출신 기관을 드러내는 이름, 여전히 강세인 이유

연구에 따르면 의원과 치과의원 명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연세’, ‘서울’이었다. 또한 ‘성모’, ‘삼성’처럼 출신 대학이나 수련병원명을 강조하는 단어도 상위권에 올랐다(출처: 같은 연구).

인식 포인트

  • 대학·수련병원명 강조 → 권위와 전문성 어필

  • 산부인과: ‘이화’, 성형외과: ‘강남’, ‘압구정’ 등 지역명 활용

  • 정신건강의학과: ‘마음’, ‘공감’, ‘숲’ 등 감성 단어 사용

환자는 병원 이름만으로도 “이 병원은 믿을 만하다”는 신호를 읽는다.

최신 유행 키워드 ‘365’, ‘바른’의 의미

최근 의원, 한의원, 약국에서 빠르게 확산된 단어는 ‘365’와 ‘바른’이었다. ‘365’는 연중무휴·접근성을, ‘바른’은 치료 신뢰성과 윤리성을 강조한다(출처: 같은 연구).

키워드 해석

  • ‘365’ → 언제든 열려 있다는 편의성 메시지

  • ‘바른’ → 치료와 신뢰를 동시에 담은 윤리적 이미지

특히 정형외과와 마취통증의학과에서 ‘바른’이 상위 단어로 분석되며, 환자의 ‘안심감’과 ‘전문성’ 요구를 반영했다.

친근감을 주는 단어, 모든 기관의 공통점

의원·치과·한의원·약국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등장한 단어는 ‘우리’였다. ‘우리 약국’, ‘우리 병원’처럼 공동체적 언어를 사용해 환자에게 친근함을 전달한다(출처: 같은 연구).

주요 특징

  • ‘우리’ = 지역밀착형, 가족적 이미지

  • ‘사랑’, ‘푸른’, ‘현대’ 등 추상명사 다수 사용

  • 법적 제약 회피용 신조어(예: ‘임플란트’ → ‘플란트’) 활용

병원 이름은 간판이 아니라 환자 관계를 규정하는 브랜드 메시지다.

결론

이 연구는 의원·약국 명칭 속에 담긴 시대별 유행과 환자 인식을 보여준다. 출신 기관, 최신 키워드, 감성 언어까지—이름의 언어적 신호가 곧 병원의 브랜드 전략이다.

병원 개원이나 리브랜딩을 고려하는 의료진은 환자가 인식하는 이름의 의미를 세밀히 읽어야 한다. 작은 이름의 차이가 환자의 선택을 바꾸고, 병원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참고문헌

이인성, 김남권(2024).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명칭 유행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45(3), 122-1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2). A study on Analysis of 5th National Medical Care Resources and Utilization Survey.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2024). Local Administration Licensing Data.
Kim H. J.(2019). Unsupervised Korean Tokenizer and Extractive Document Summarization.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2024). 2022 Year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hin, Y. S., Shin, J. Y.(2015). Development of Modern Dentistry in Korea. 대한치과의사협회지, 53(11), 817-843.
Health Policy Institute(2023). 2022 Yearbook of the Korean Dentistry.
표준국어대사전(2024). 국립국어원.

메딕티브 리서치 안내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브랜딩 사례를 메딕티브 리서치에서 다루고 있다. 연구 기반 인사이트를 통해 병원과 브랜드의 성장을 지원하는 다양한 자료를 앞으로도 공유할 예정이다.

소식을 이어가겠습니다.

웹·브랜딩 디자인의 실제 사례와 인사이트를 매일일 공유합니다.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