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8. 24.

환자 UX

소아청소년과 경험 디자인, 아이의 마음을 지켜주는 전략

소아청소년과 UX를 색채·라포·예약·정보 시각화로 설계해 아동 불안을 낮추고 보호자 신뢰를 높이는 실무 가이드를 정리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25. 8. 24.

환자 UX

소아청소년과 경험 디자인, 아이의 마음을 지켜주는 전략

소아청소년과 UX를 색채·라포·예약·정보 시각화로 설계해 아동 불안을 낮추고 보호자 신뢰를 높이는 실무 가이드를 정리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소아청소년과 UX를 색채·라포·예약·정보 시각화로 설계해 아동 불안을 낮추고 보호자 신뢰를 높이는 실무 가이드를 정리한다.

아이의 정서 건강, UX에서 시작된다

병원은 아이와 보호자에게 낯설고 불안한 공간이다. 소아청소년과는 질병 치료를 넘어 정서적 경험을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핵심 과제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경험 디자인(UX)은 아동의 불안을 줄이고 보호자의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도구다(김은진, 2023). 색채, 의료진과의 라포, 예약 UX, 정보 시각화 같은 요소는 아이의 정서 건강을 지키는 심리적 안전망으로 작동한다.


색채 UX — 경험의 60%를 좌우한다

색채는 장식이 아니라 전체 경험의 약 60%를 좌우하는 UX 요인이다(김은진, 2023). 아이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병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만든다.

아동 색채 심리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컬러

  • 빨강: 활기와 애정

  • 노랑: 따뜻함과 명랑함

  • 초록: 안정감과 균형

  • 보라: 창의성과 감성

  • 파랑: 차분함과 신뢰

발달 단계별 색채 반응(요약)

  • 유아기(0–5세): 원색 → 호기심과 친근감

  • 아동기(6–12세): 파스텔톤·자연색 → 안정감과 신뢰감

  • 청소년기(13세 이상): 대비 강한 색(네이비+화이트 등) → 독립성과 전문성

적용 포인트

  • 대기실: 파스텔톤으로 불안 완화

  • 진료실: 화이트·블루톤으로 안정감 제공

  • 의료진 복장: 블루·옐로우 계열로 친근감 강화

의료진과 라포 UX — 신뢰를 만드는 비언어적 설계

아이들은 표정과 복장, 소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비언어적 UX 요소는 아이와 보호자의 신뢰를 형성하는 핵심 장치다(김은진, 2023).

  • 웃는 얼굴 마스크와 작은 인형 브로치로 친근감을 높인다

  • 청진기에 캐릭터 소품을 달아 긴장을 완화한다

  • 복장 색채와 톤으로 안정감을 전달한다

디지털 UX — 예약이 만드는 첫인상

복잡한 예약 절차는 불안을 키운다. 직관적인 예약 앱 UX는 첫인상을 바꾼다(김은진, 2023).

  • 절차를 단순화하고 직관적 아이콘을 사용한다

  • 보호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흐름을 제공한다

  • 불필요한 대기와 체증을 최소화한다

정보 시각화 UX — 아이 눈높이에서 이해시키는 힘

의료 정보는 어렵지만 픽토그램과 일러스트를 활용하면 환아와 보호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분과별 아이콘(심장, 신장, 감염 등)으로 직관적 이해를 돕는다

  • 픽토그램과 간단한 차트로 보호자의 빠른 판단을 지원한다

  • 아동 눈높이 콘텐츠로 환아의 자율적 이해를 돕는다

국내외 사례 — UX 중심 병원의 설계 포인트

  • 메이요 클리닉: 자연친화적 UX로 환자 중심 경험을 구축한다

  • 산트 호안 데 데우 병원: 아동 친화적 그래픽과 색채 UX를 활용한다

  • 서울대 어린이병원: 층별 색채와 캐릭터로 공간 UX를 강화한다

  • 고려대 구로병원: 동선 중심 사이니지로 정보 UX를 개선한다

결론 — UX는 아이의 정서 건강을 지키는 안전망이다

색채, 의료진 신뢰, 예약 UX, 정보 시각화는 환자 경험을 바꾸는 전략이다. UX는 편의성 개선을 넘어 아동의 정서 안정, 보호자 불안 경감, 의료진과의 관계 개선, 이용 효율 증대를 만든다. 소아청소년과 UX는 아이와 보호자 모두에게 안전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핵심 장치다.

참고문헌

  • 김은진. (2023). 소아청소년과 의료 서비스 증진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정서 건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효섭, 신희영, 홍창의. (2020). 소아과학. MiraeN.

  • 김옥 외. (2006). 아동색채교육. 미진사.

  • 김향임. (2013). 아동풍경구성법에 나타난 색채심리연구. 한국아동미술학회지, 12, 49–51.

  • 윤성원. (2013).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 Sher. (2023). 의료디자인 Hospital Sant Joan de Deu 산트 호안 데 데우 병원.

  • A Welcoming, Nature-Inspired Respite for Children. (2023). Mayo Clinic Children’s Center.

소식을 이어가겠습니다.

웹·브랜딩 디자인의 실제 사례와 인사이트를 매일일 공유합니다.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