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8. 26.

병원 마케팅

데이터가 증명한 언론 홍보전략 효과

언론 노출이 외래 예약과 진료 증가에 미치는 효과와 진료과별 맞춤 전략을 정리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2025. 8. 26.

병원 마케팅

데이터가 증명한 언론 홍보전략 효과

언론 노출이 외래 예약과 진료 증가에 미치는 효과와 진료과별 맞춤 전략을 정리한다.

메딕티브: 메디컬 첫인상 연구소

디자인팀 리드

언론 노출이 외래 예약과 진료 증가에 미치는 효과와 진료과별 맞춤 전략을 정리한다.

왜 언론 전략이 중요한가

의료 서비스가 평준화된 시대에는 진료의 질만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환자는 전문성뿐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이미지와 노출 빈도를 함께 본다. 언론과 미디어 노출은 신뢰와 인지도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전략이다(박소연, 2025).

지표 요약

항목

변화량

통계 유의성

외래 예약(주당)

약 8.9명 증가

p=0.0002

외래 진료(주당)

약 39명 증가

p=0.0012

주요 효과는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외과계에서 두드러졌다.

언론 노출은 숫자로 증명된다

서울 소재 공공병원 의료진 157명을 1년간 분석한 결과, 언론 노출 직후 외래 예약과 외래 진료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는 언론 노출이 환자 유입에 실질적 변화를 만드는 검증된 전략임을 보여준다.

분과별 효과 요약

진료과

관찰 효과

소아청소년과

예약과 진료 모두 노출 직후 급증

정신건강의학과

노출 이후 증가세가 비교적 오래 지속

외과계

예약 환자 수가 주당 약 12.9명 증가

진료 성과를 높이는 맞춤형 접근

언론 노출 효과는 진료과와 환자군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병원 특성에 맞는 채널과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소아청소년과: 계절성 질환 이슈, 예방 안내, 생활 가이드와 결합한다

  • 정신건강의학과: 장기 캠페인과 칼럼 시리즈로 신뢰 축적을 노린다

  • 외과계: 수술 결과 지표와 치료 경로 안내 등 사실 기반 스토리로 접근한다


전통매체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

신문과 방송은 여전히 공신력 있는 채널로 작동한다. 전통매체는 단기 효과와 신뢰 확보에 강점을 보이며, 특정 진료과의 환자 유입에 즉각적 효과가 나타난다. 병원은 매체별 성과를 비교해 가장 적합한 조합을 선택해야 한다.

실행 포인트

  • 의제 설정: 병원 강점과 계절 이슈를 연결한 보도 주제를 미리 설계한다

  • 포맷 다변화: 인터뷰, 칼럼, 데이터 카드, 인포그래픽 보도자료를 병행한다

  • 채널 믹스: 전통매체와 SNS를 동시 운영하되 메시지 축은 일관되게 유지한다

  • 효과 측정: 예약과 내원 변화량을 주차 단위로 기록하고 매체별 기여도를 추적한다

결론

병원 마케팅은 감이 아니라 검증된 데이터에 기반해야 한다. 전통매체와 뉴미디어를 병행해 실험하고 결과를 축적하면 병원 특성과 환자군에 가장 적합한 채널을 찾아갈 수 있다. 언론 전략은 병원 고유의 브랜딩과 결합할 때 장기 경쟁력을 만든다.

참고문헌

  • 박소연. (2025). 의료진의 언론 노출이 병원 진료 실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현선. (2007). 언론보도가 환자의 진료예약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철. (2016). 병원의료진의 언론노출과 진료실적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용선. (2016). 중앙일간지 의료보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아름. (2013). 병원 이미지가 고객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광현, 김동영, 조덕영. (2017). 병원의 경영성과 지표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30(1), 105-122.

  • Ventola, C. L. (2014). Social media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P T, 39(7), 491-499.

  • Sun, Q., Tang, G., Xu, W., Zhang, S. (2024). Social media stethoscope. Front Public Health, 12, 1459536.

소식을 이어가겠습니다.

웹·브랜딩 디자인의 실제 사례와 인사이트를 매일일 공유합니다.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